본문 바로가기

블로그 only

문국현의 변신, 오마이뉴스도 자성해야

 
사용자 삽입 이미지

창조한국당 문국현 대표가 자유선진당 이회창 총재와 손을 잡았다. 이름하여 정책연대를 통한 교섭단체 공동구성.


문국현의 변신, 변명의 여지없어


'창조적 진보'와 '정통보수' 사이의 이 해괴한 동거선언에 대해 정치권 안팎의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 특히 교섭단체 구성이라는 눈앞의 실리를 위해 기본적인 가치와 원칙을 팽개친 문 대표의 행동은 변명의 여지가 없어 보인다.


그렇지 않아도 대선 이후 주변 인사들의 이탈, 이한정 당선자 공천 경위와 관련된 의혹 등으로 문 대표의 리더십은 위기에 봉착해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회창 총재와의 연대는 불에 기름을 끼얹은 꼴이 되었고, 이제 문 대표의 정치적 존재 의미를 굳이 찾는 것은 무의미한 상황이 되어버렸다.


이회창 총재와의 연대선언은 '문국현 정치'의 파산선언이라고 해도 지나치지 않다. 그런데 문 대표 이야기를 할 때면 아직도 떠오르는 일이 있다. 지난 대선에서 <오마이뉴스>가 보여주었던 ‘문국현 올인’, 즉 ‘문국현 띄우기’ 보도가 그것이다.


아직도 기억나는 <오마이뉴스>의 '문국현 띄우기'


나만 그런 것은 아닌가보다. <오마이뉴스>에도 며칠동안 문 대표 관련 기사가 실렸고, 댓글에는 <오마이뉴스>의 반성과 사과를 요구하는 글들이 여럿 실려있다. 그만큼 아직도 많은 사람들에게는 지난 대선에서 <오마이뉴스>의 ‘문국현 띄우기’가 강한 기억으로 남아있는 듯하다.


대선 당시에도 논란이 되었다. 그러나 <오마이뉴스>는 ‘문국현 띄우기’가 아니라고 부인했다. 네티즌들의 관심에 맞추어 보도한 것일 뿐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어린아이가 아닌 이상, 그런 설명이 ‘눈가리고 아웅’하는 식이었음을 안다.


<오마이뉴스>가 지난 대선에서 ‘문국현 띄우기’에 나섰던 것은 천하가 다 아는 사실이다. 문국현 대표의 일거수 일투족은 쉬지않고 <오마이뉴스>의 메인을 장식했고, 댓글에는 ‘눈물이 난다, 감동이다’는 식의 글들로 도배질되곤 했다. <오마이뉴스>에서만큼은 문국현은 2007년 대선의 메시아였다.


물론 바탕에는 좋은 뜻이 깔려있었다고 믿는다. 싱겁게된 대선판에서 볼거리를 만들고자 하는, 그리고 개혁진보진영에 새로운 불씨를 만들어보고자 하는 생각이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목적이 수단을 정당화할 수는 없는 법. 전혀 검증되지 않는 인물에 대해 <오마이뉴스>가 무리한 보도를 하는 사이에, 개혁진보진영의 일원인 대통합민주신당이나 민주노동당은 커다란 피해를 입었다. 이들의 입에서는 <오마이뉴스>의 보도를 향해 “조중동보다 더 하다”는 비난이 쏟아졌다.


<오마이뉴스>, 한번쯤은 사과해야


이들 정파 사이의 이해관계야 그렇다 하더라도, 독자들의 견지에서 보았을 때 당시 <오마이뉴스>의 보도는 전형적인 불공정보도였다. <오마이뉴스>가 자신의 힘으로 ‘제2의 노무현’을 만들어낼 수 있다고 생각했다면 오만이었다. 스스로를 인터넷언론의 권력으로 생각한 것 아니냐는 소리를 들어도 할 말이 없을 문제였다.


그런데 정작 유감스러운 것은 대선 이후의 모습이다.<오마이뉴스>는 대선에서의 ‘문국현 띄우기’라는 불공정보도에 대해 한번도 독자들에게 사과하는 모습을 보이지 않았다. 아니, 사과는 고사하고 성찰하는 모습도 발견하기 어려웠다. 냉정하게 말해, 조중동에게는 엄격하고 자신에게는 관대한 모습이었다.


문국현 대표는 이제 돌아올 수 없는 다리를 건넜다는 것이 나의 판단이다. 그렇다면 지난 대선에서 그를 개혁진보진영의 대안으로 그렇게 밀었던 <오마이뉴스>도 한번쯤은 독자들에게 자기성찰의 모습을 보여야 하는 것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물론 시기적으로 늦기는 했지만, 여전히 독자들의 기억에 생생히 남아있는 문제라면 지난 대선 때의 보도를 이제라도 책임있게 매듭짓는 모습이 필요하지 않겠는가.


후기) 이런 목소리 진작 공론화되었어야


진작부터 쓰려했던 이야기였다. 그런데 나 자신이 <오마이뉴스>에 칼럼을 쓰고 있던 위치에서 <오마이뉴스>의 아픈 곳을 건드리는 것같아 차일피일 미루어왔다. 그러다보니 이제야 이런 글을 쓰게 된다. 따지고 보면 이런 식의 모습도 아는 사람들끼리는 적당히 넘어가는 담합적 사고라는 자성이 들기도 한다.


나는 <오마이뉴스>와 깊은 인연을 갖고 있다. 2002년 국민경선 생중계를 같이 하면서 본격적으로 인연을 맺었고, (지금은 쉬고 있지만) 오랫동안 고정칼럼을 써왔다. 그렇기 때문에 이런 소리를 굳이 공개적으로 하기로 했는지도 모른다. 이런 자기성찰의 모습, 열려있는 모습을 보여야 독자들의 신뢰를 높이는 일이 가능하다고 나는 믿는다.


의아한 것은 이런 얘기가 공론화되지 않았던 개혁진보진영 내부의 문화이다. 내 기억으로는 대선 당시 <오마이뉴스>의 이런 보도를 비판했던 것은 언론개혁시민연대 양문석 사무처장이 <미디어오늘>에 썼던 글이 유일했던 것 같다.


내 경우는 <오마이뉴스> 칼럼 ‘문풍이 바람으로 끝나지 않으려면-정치 리더십, 국민의 검증받아야 ’를 통해 그에 대한 검증이 필요함을 제기했고, ‘문국현 후보, 이제 사퇴의 용단내려야’라는 칼럼을 대선 막판에 쓰기도 했다. 당시 <오마이뉴스> 분위기에서는 총맞을 글들이었다.

물론 당시 문국현 후보 지지자들의 강한 반발을 샀지만, "문국현 후보의 리더십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다"는 나의 논점은 틀리지 않았다고 지금도 생각하고 있다.


대선 당시 많은 사람들이 <오마이뉴스>의 보도에 대해 불만을 토로했으면서도 정작 그런 목소리가 공론화되지 못했던 것. 어차피 ‘같은 편’끼리니까 덮어주자고 생각한 것이었을까. 그런 목소리를 공개적으로 내는 사람도 없었고, <오마이뉴스>도 아무 일 없었다는 듯이 지나가고..... 그러는 사이에 개혁진보진영의 문화라는 것도 화석화되고 권력화되는 것은 아닐까.

 <오마이뉴스>가 독자들에게 몸을 낮추고 자신을 돌아보는 모습을 보여주기를 바란다.

♡ 포스트 내용이 유익했으면 저의 블로그를 구독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