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

음향대포의 위험성, 직접 들은 기자들의 증언

경찰이 G20 정상회의를 앞두고 시위대 해산용으로 도입을 추진 중인 일명 음향대포(지향성 음향장비)의 시연회가 어제(1) 열렸다. 서울경찰청 기동단 앞마당에서 열린 이 시연회는 도입을 추진중인 경찰청이 음향대포의 안전성을 보이겠다며 마련한 자리였다. 그래서 이 자리에는 각 언론사의 취재진들이 대거 참석했다.

음향대포의 안전성에 대한 논란이 계속되고 있지만, 사실 이를 판단할 수 있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음향대포의 소음을 직접 들어보는 일이 될 것이다. 그래서 어제 기자들이 직접 듣고 전한 기사들은 우리의 관심을 끈다. 직접 들은 사람들의 생생한 증언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소음을 직접 들은 기자들은 하나같이 우려를 전하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진= 유성호

다음은 기자들이 전하고 있는 음향대포의 우려할만한 소음이다.

특히 마지막 시연인 32m, 150출력 때는 찢어질 것같은 소음에 취재진들의 표정이 순간 일그러지기도 했다. 경고음이 반복되자 일부 기자는 시연이 끝나고서도 고막 통증을 호소했고, 또 다른 기자는 메슥거림이 심해져 헛구역질을 하기도 했다....하지만 이날 시연회 결과 음향대포의 성능을 직접 경험한 취재진들이 곳곳에서 고통을 호소하는 등 안정성 논란은 쉽게 가라앉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경향신문>

64m, 32m로 음향대포와의 거리가 가까워지고 출력이 높아질수록 대화가 불가능해질 정도로 이명이 심해졌다. 거듭된 소음에 몸이 두들겨 맞은 것 마냥 노곤해지고 불쾌하게 뛰는 심장소리가 귓가에 들렸다. 마지막 시연인 32m, 140출력 때는 찢어질 것같은 소음에 취재진들의 표정이 역겨움으로 변했다. 냉장고 모터가 돌아가는 것같은 고주파 소음이 멈추지 않고 들렸다. 방송을 멈추면 귀가 먹먹한 증상이 바로 멈춘다는 경찰 보도자료와는 달리 귓가를 울리는 소음은 멈출 조짐을 보이지 않았다. 메슥거림은 심해져 헛구역질마저 나왔다. 노인과 아이, 여성이 음향대포에 노출된다면 정신적, 신체적 후유증이 있을 수 있다는 우려가 들었다. <뉴시스>

! !’ 하는 짧은 사이렌 소리가 빠르게 반복되는 경고음향에 불과 5초 정도 노출됐지만 고막이 먹먹하고 멀미가 날 정도였다... 시연회가 끝난 뒤 취재기자들이 어지럼증을 호소하기도 했다. <동아일보>

마치 뇌 속을 파고드는 듯한 기분 나쁜 소리를 내 시위대를 해산시키는 이른바 '음향대포'의 위력은 상상 이상이었다.... 시연한 음향대포는 단 5초간 발사했음에도 불구하고 귀 고막을 자극해 두통과 울렁거림을 유발했다.... 시위대가 경찰을 향해 달려들 경우 음향대포로 인해 인체에 심각한 위해를 입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서울신문>

시연이 끝나자 귀가 '먹먹'한 것을 넘어 '얼얼'해졌고 머리는 '어질어질'했다. 가슴도 '쿵쾅쿵쾅' 뛰었다. 100m, 64m, 32m 거리를 통틀어 '음향대포'에 직접적으로 노출된 시간은 불과 5분도 안 됐는데 말이다. 이런 상태는 한 시간이 넘게 지속됐다. <오마이뉴스>

이날 시연회의 한 참석자는 날카로운 물체가 고막에 내리꽂히는 듯한 느낌으로, 음파를 듣고 난 뒤 3시간여 동안 두통이 가시지 않았다고 말했다. 또 시연에 참가한 일부 경찰 간부들도 귀를 막고 고통을 참는 모습이 보였다. <한겨레>

취재진들은 실제 들리는 소리의 크기가 100후반으로 올라가자 "~~"하며 불편함을 호소하다 110을 넘어서면서 부터는 "귀가 아프다"며 귀를 손을 막기 시작했다. 시연회가 끝난 뒤에도 한참 동안 고막 통증을 호소하는 취재진이 적지 않았다<한국일보>

날카로운 소리가 계속되자 참가자들의 얼굴이 조금씩 일그러지다 귀를 막고 고통을 호소합니다. 일부 취재진은 현기증을 호소하기도 했습니다. 100미터 앞에서 음향 대포를 발사할때도 기차가 바로 옆에서 지날때 나는 100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측정됐습니다. <MBC 뉴스>

듣기 힘들 정도의 고음이 들리자 사람들이 귀를 틀어막습니다....’음향 대포는 제트기 소음보다도 큰 최대 152데시벨까지 소리를 낼 수 있습니다. 사람의 청력을 영구적으로 손상시킬 수 있는 수준입니다. 때문에 경찰은 110에서 120데시벨 정도로 음압 수준을 낮춰 사용할 계획입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이 정도 수준의 음향으로도 청력이 손상될 수 있다고 지적합니다. <KBS뉴스>

30m 떨어진 거리에서 135데시벨의 경고 음향을 발사하자 고막을 찢는 듯한 시끄러운 굉음에 모두 귀를 감싸쥐고 괴로워 합니다....특히 청각은 뇌에 가장 가까이 있기 때문에 소음에 반복적으로 노출될 경우 난청이나 이명 현상이 올 수 있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경찰은 오늘 시연을 통해 장비의 안전성을 강조하려 했지만, 이 장비의 안전성 논란은 오히려 더 커지고 있습니다. <SBS 뉴스>

(<조선일보><중앙일보>는 인터넥 검색을 통해 관련기사를 찾을 수 없었다.)

이 정도 되면 그야말로 만장일치라 할 수 있다. 음향대포의 가공할 소음을 직접 들은 기자들은 너나할 것 없이, 모두 안정성에 대한 우려를 표하고 있다. 이런대도 경찰청이 도입을 예정대로 추진하겠다는 것은 말이 되지않는 일이다. 도대체 시민들을 어떻게 알길래, 시민들의 안전을 위협하는 이런 공포의 장비를 사용하려 한다는 말인가. 경찰은 음향대포 도입을 즉각 철회해야 한다.

그런데 아무리 생각해도 이해가 되지않는 점이 하나 있다. 경찰은 어제 시연회를 도대체 왜 한 것일까. 어제 시연회는 음향대포의 위험성이 입증된 자리였는데.... 설마 소음을 들은 사람들이 음향대포는 안전하다고 손들어주기를 기대했던 것일까. 경찰은 도대체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는 것인지, 정말 알다가도 모를 일이다.


저의 안드로이드폰용 개인 어플 <올댓 시사 3.0>이 나왔습니다.
다운로드 바로가기  
http://bit.ly/aUzpcb

* 저의 인터넷 개인방송이 매일 밤 11시에 아프리카 TV를 통해 생방송됩니다. 다른 시간대에는 수시로 재방송이 나갑니다. 아프리카 TV 앱을 다운받으면 아이폰을 통해서도 시청하실 수 있습니다.'유창선의 시사난타' 바로가기 http://afreeca.com/sisatv

아래 왼쪽에 있는 손가락 모양을 클릭하시면 이 글에 대한 '추천'이 됩니다, 여러분이 추천해주시면 이 글이 더 많은 사람에게 읽힐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