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치

박근혜 신당, 아직 살아있는 마지막 승부수

정치권 일각에서 나돌았던 박근혜 신당설은 박 전 대표의 강력한 부인으로 일단 진정되는 모습이다. 박 전 대표는 기자들로부터 `박근혜 신당설'에 대한 질문을 받고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고 단호하게 부인하고, "신당 검토도 없었다는 뜻인가"라는 물음에도 ""라고 답변했다. 친박 핵심인 유승민 최고위원도 최고위원회의에서 "그런 식으로 분열을 초래하는 일은 있을 수 없다"고 일축했고, 한 측근도 "상황이 답답하다고 죽을 길로 갈 수는 없지 않느냐"고 말했다. 박근혜 신당설이 여권분열 구도로 인식될 수 있기에 친박 세력은 조기에 이를 부인하며 진정시킨 것으로 보인다. 

10.26 재보선 이후 박근혜 신당설이 사람들 입에 오르내렸던 이유는 간단하다. 현재의 한나라당 간판으로는 내년 총선과 대선에서 승리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한나라당이 선거만 있으면 민심의 심판을 받는 상황에서 아무리 박근혜 전 대표가 나선다 하더라도 승리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위기의식의 결과이다. 더구나 이제는 박근혜 대세론도 무너지고 대선주자 여론조사에서 안철수 원장과 선두를 다투는 상황이 되어버렸다. 대선가도에서 한나라당이 자신에게 족쇄가 되는 상황을 박 전 대표 측도 우려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사진=유성호

그러나 현재로서는 친박 측에서 신당설의 불을 끄지않을 수 없다. 우선은 내년 총선을 앞둔 마당에 여권세력의 분열로 받아들여질 가능성이 크다. 신당의 명분에 대한 여론의 공감보다는 분열에 대한 책임을 안게될 위험이 크다. 현재로서는 한나라당을 깨고 신당을 창당하는 것을 구상할만한 별다른 명분이 없기 때문이다. 그동안 친박 세력이 한나라당의 쇄신을 적극적으로 밀어붙이다가 친이 세력의 저항에 부딪혀 한나라당이 지금처럼 된 것도 아니다. 박 전 대표를 비롯한 친박 세력도 한나라당의 상황에 적극적으로 책임지는 모습을 보이기 보다는 지켜보는 입장에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현재의 시점에서 박근혜 신당은 친박 세력이 상상하기 어려운 그림임에 분명하다. 

그러면 친박 세력의 강력한 부인으로 박근혜 신당의 가능성은 완전히 없어진 것일까. 그렇지는 않아 보인다. 앞으로 대선정국의 상황전개에 따라 박근혜 신당론은 다시 고개를 들 수 있는 성격을 갖고 있다. 쉽게 말해 박 전 대표가 한나라당 간판으로는 도저히 대선을 치를 수 없다는 판단이 들 때, 그에게 다른 어떤 선택치가 있겠는가. 

한나라당 간판으로 대선을 치를 수 없는 경우는 두가지일 것이다. 우선 내년 4월 총선에서 한나라당에 대한 민심이반이 다시 확인되고, 한나라당이 계속 추락하는 상황이다. 또 하나는 이러한 상황에서 한나라당을 쇄신하려는 환골탈태의 시도가 이명박 대통령과의 관계 때문에 성과를 거둘 수 없는 경우이다 

이러한 상황을 맞게 된다면 박 전 대표 입장에서도 한나라당 간판을 껴안고 같이 무덤으로 가느니, 이명박 대통령과의 결별을 선언하며 신당을 추진하려는 유혹을 느낄 법하다. 물론 이 경우라 해도 신당의 수준과 범위는 어려가지가 있을 수 있다. 친박 세력과 쇄신파가 함께 한나라당을 깨고 나가 당밖의 보수인사들과 함께 헤쳐모여식의 신당을 창당하는 방식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이 가져올 여권분열의 위험 등을 감안할 때 박 전 대표가 쉽게 선택할 수 있는 카드는 아니다. 이보다는 한나라당을 명실상부한 박근혜당으로 만들면서 친이 세력을 배제하고 당의 이름을 바꾸는 식의 신당창당 방식이 있을 수 있다. 이 후자의 경우는 현실적으로도 가능성이 상당히 있는 방식으로 판단된다. 

친박 세력이 박근혜 신당을 부인했다고 해서, 박 전 대표가 지금의 한나라당을 갖고 대선을 치른다고 생각하기는 어렵다. 국민의 외면을 받는 지경에 이른 정당을 갖고, 더구나 자기쇄신의 모습을 보여주지 못하는 정당을 갖고 어떻게 대선을 치를 수 있겠는가.

  박 전 대표가 어느 수준까지 과감한 그림을 그릴 수 있을지는 유동적이지만, 아마도 내년 4월 총선은 한나라당의 이름을 갖고 치르는 마지막 선거가 될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

 

아래 왼쪽에 있는 손가락 모양을 클릭하시면 이 글에 대한 '추천'이 됩니다, 여러분이 추천해주시면 이 글이 더 많은 사람에게 읽힐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