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비평 썸네일형 리스트형 이름까지 바꾼 김민선, 광우병 소송 벗어나길 배우 김민선이 ‘김규리’로 개명했다. 김민선의 소속사 TN엔터테인먼트 측은 오늘 "김민선이 어렸을 때 집안에서 부르던 이름 규리로 최근 개명했다"고 밝혔다. 김민선은 그동안 집안에서는 ‘규리’라고 불러왔다고 한다. 딸만 넷이어서 부모님이 아들을 낳고 싶은 생각에 김민선이라는 이름으로 호적에 올리기는 했지만, 가족들은 그대로 규리라고 불러왔다는 것이다. 그렇게 보면 커다란 변화는 아니라는 것이 소속사 측의 설명이다. 그러나 이름이 알려질대로 알려진 인기배우가 그동안 사용해오던 이름을 바꾸는 일이 어디 간단한 일이겠는가. 소속사 측은 말을 아끼고 있지만, 굳이 그렇게 한 이유를 짐작하기 어렵지 않다. 그동안 있었던 안좋은 일들에 더 이상 휘말리지 않고 심기일전하여 새 출발하겠다는 의지가 담겨있다는 해석이 대.. 더보기 KBS 노조의 총파업, 이번에는 믿어도 될까 이명박 대통령 특보 출신인 김인규 회장이 KBS 사장으로 임명 제청된 가운데 이제 이목은 KBS 노조로 향하게 되었다. KBS 노조가 김인규 사장 임명에 대해 어떤 태도를 취하느냐에 따라 앞으로의 상황이 크게 좌우될 수 있기 때문이다. KBS 노조가 말로만 투쟁을 하다가 얼마 후에 슬그머니 꼬리를 내려버린다면, 설혹 PD와 기자들의 반발이 계속된다 하더라도 김인규 체제는 비교적 쉽게 KBS에 안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반대로 KBS 노조가 진짜로 마음먹고 몸을 던지는 장기투쟁에 들어간다면 김인규 회장은 ‘제2의 서동구’가 될 수도 있다. 물론 KBS 노조는 김인규 회장이 사장이 될 경우 총파업 투쟁을 벌이겠다고 진작부터 선언했다. 일부에서는 KBS 노조가 이병순 사장이 연임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가능.. 더보기 KBS 노조에게 이병순과 김인규는 다른가 KBS 노조의 움직임이 이상하다. 그동안 KBS 내부 갈등의 고비 때마다 결정적인 순간에 발을 빼곤 했던 KBS 노조로부터 다시 수상한 기류가 감지되고 있다. KBS 노조는 지난 12일 는 성명을 냈다. KBS 노조는 이 성명을 통해 “우리는 김 씨가 끝내 정권의 낙하산으로 입성해 KBS의 정치독립성을 짓밟는다면 언론자유와 방송독립을 위해 숭고한 피를 흘린 선배들의 뜻을 받들어, 방송독립을 염원하는 국민과 함께, 5천 조합원의 고귀한 투쟁의지를 모아 낙하산 사장 저지를 위한 총파업 투쟁은 물론 정권 퇴진 투쟁도 불사할 것임을 분명하게 경고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명박 대통령의 특보를 지낸 인사가 KBS 사장이 될 경우 총파업 투쟁을 벌이겠다는 KBS 노조의 입장은 일단 당연한 일로 받아들여진다. 그런데.. 더보기 정연주, “KBS 사장으로 돌아가는 것이 원칙” 정연주 전 KBS 사장은 자신의 복직문제에 대해 어떠한 생각을 갖고 있을까. 정 전 사장은 자신의 원상회복, 즉 KBS 사장직으로 복직이 되어야 한다는 견해를 밝혔다. MBC 라디오 과의 13일 인터뷰에서이다. 법원의 해임처분 취소 판결이 있은 이후,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 전 사장의 복직은 불가능한 것으로 여겨졌다. 대법원 확정 판결까지 나려면 시간이 걸리고, 이미 남은 임기는 열흘가량 밖에 안되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어려운 일로 받아들여졌다. 정 전 사장의 복직을 요구하는 사설 경우도 남은 임기동안의 상징적인 복직을 말하는 수준이었다. 그러나 정 전 사장은 이러한 견해들과는 달리, 자신의 ‘원상회복’을 요구했다. 구체적으로 ‘잃어버린 15개월동안’ 자신이 다시 사장으로 재임하는 것이 원칙이라는 입장을 밝.. 더보기 KBS와 YTN, 법원 판결에도 마이동풍 법원이 이명박 정부 아래에서 있었던 대표적인 방송장악 행위들에 대해 제동을 걸었다. 정연주 전 KBS 사장에 대한 해임처분을 취소하라는 판결이 내려진데 이어, 낙하산 사장 반대투쟁을 벌인 YTN 노조원 6명에 대한 해고가 무효라는 판결이 내려졌다. 이번 판결들은 KBS와 YTN에서 있은 방송장악 과정의 불법성을 드러냄 아울러 그에 대한 반대투쟁의 정당성을 확인시켜주었다는 점에서 커다란 의미를 갖고 있다. 그렇다면 이제 법원의 판결에 따라 불법적인 상황들을 해소하고, 불법행위로 야기된 상황들을 정상으로 되돌리는 일이 우선적인 과제가 되었다. KBS의 경우 정연주 전 사장을 몰아낸 과정의 불법성이 확인된만큼 그의 복직이 이루어져야겠지만, 임기가 며칠 남지않은 상황에서 확정 판결까지는 시간이 더 걸릴 것이기 .. 더보기 이전 1 ··· 9 10 11 12 13 14 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