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치

쇄신경쟁 1라운드는 박근혜의 판정승

새누리당과 민주통합당이 4.11 총선을 앞두고 쇄신경쟁을 벌여왔다. 이번 총선에서 승리하기 위해서는 기존 정당에 대한 불신을 넘어설 수 있는 전면적 쇄신의 모습을 보여야 한다는데 두 당의 인식이 일치했다. 그럴 수밖에 없는 것이, 그동안 불어닥친 안철수 바람의 의미가 바로 새로운 정치에 대한 갈망으로 해석되었기 때문이다. 

특히 민심의 이반 속에서 심각한 위기에 처한 새누리당의 상황은 다급했다. 총선패배가 기정사실로 받아들여지는 가운데, 박근혜 비대위원장이 전면에 나섰고, 강도 높은 쇄신에 승부를 걸었다. 한나라당이라는 이름도 바꾸었다. 박 위원장은 과거와의 단절을 선언했다. 

민주통합당 공천심사 현장

물론 결과는 그리 만족스럽지 않았다. 외쳐진 쇄신 구호에 비해 의미있는 쇄신의 성과는 적은 편이었다. 여권의 잇달은 악재도 부담이었다. 그렇다해도 모든 것을 쇄신에 걸겠다는 박 위원장의 의지만은 국민에게 전달되었다. 물론 새누리당의 쇄신에 대한 제대로 된 평가는 영남지역에서 공천물갈이가 어느 수준에 달할 것인가를 보고 판단해야겠지만, 일단 쇄신에 대한 의지만큼은 인정할 수준이었다 

이에 반해 민주통합당은 쇄신의 성과는 물론이고 그 의지조차도 국민에게 전달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한명숙 대표 체제가 들어선 이래 민주통합당의 쇄신의지가 제대로 전달된 적이 몇 번이나 있었는지 기억조차 나지 않는다. 최근의 상황을 보면 민주통합당 쇄신의 현주소를 알 수 있다. 

민주통합당은 제2차 공천자 명단까지 발표했지만 도로 열린우리당이라는 비판에 직면해있다. 한마디로 새로운 인물은 눈에 띄지 않고 과거 열린우리당 주축세력이 다시 그대로 들어서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현실안주적인 공천노선의 모습이다. “심부름하러 온 것이 아니다라던 강철규 공천심사위원장의 목소리는 그 이후로 잘 들려오지 않는다. 

통합진보당과의 야권 후보단일화 협상도 벽에 부딪힌 상태이다. 물론 결렬의 책임은 양쪽 모두에게 있다. 다소 과다하게 받아들여지는 숫자의 지역구를 요구하는 통합진보당, 반대로 지나치게 인색한 민주통합당, 양쪽 모두 자기이해 중심적인 입장이라 해석된다. 그러나 이런 상황에서 역시 협상을 성사시킬 열쇠는 제1야당인 민주통합당 측에 있다. 민주통합당의 보다 대승적 양보가 선행되어야 야권 후보단일화 협상을 타결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제까지 민주통합당의 소극적 모습을 보면 야권연대에 대해서도 얼마만한 의지를 갖고 있는지 의문이 드는 것이 사실이다. 총선 뿐 아니라 대선의 승패와 직결된 문제임에도 말이다. 

지금 민주통합당은 혁신도 통합도 제대로 이루어내지 못하고 있다. 아니, 그에 대한 의지조차도 의심받고 있는 상황이다. 

아무리 새누리당이 바닥에 떨어졌고, 1야당이 반사이익을 누려온 상황이라 해도, 이러고서도 4.11 총선 승리를 장담할 수 있을까. 물론 총선의 승패가 쇄신성적표대로 나오는 것은 아니겠지만, 이대로 간다면 새누리당과 민주통합당의 격차는 상당히 좁혀질 가능성이 있다. 그리하여 야권의 일방적 승리가 예상되던 판세는 새누리당의 선전으로 변화될 가능성이 충분히 있는 것이다. 

이런 상황을 내다보지 못한다면 민주통합당의 오만이고 둔감증이다. 민주통합당 내에는 지금 쇄신과 연대를 추동할 중심세력이 부재한 실정이다. 한명숙 대표가 그러한 과제들을 제대로 책임지지 못하고 있고, 옛 시민통합당 측 인사들도 제 역할을 못하고 있다. 리더십의 실종상황이다, 걱정되는 것은 총선만이 아니다. 이런 모습으로 어떻게 총선과 대선을 치른단 말인가. 민주통합당에게는 지금 비상등을 켜는 일이 필요하다. 

새누리당 박근혜 위원장과 민주통합당 한명숙 대표 사이의 쇄신경쟁 1라운드는 박 위원장의 판정승이다. 새누리당이 특별히 잘해서가 아니라 민주통합당이 워낙 못해서이다.

아래 왼쪽에 있는 손가락 모양을 클릭하시면 이 글에 대한 '추천'이 됩니다, 여러분이 추천해주시면 이 글이 더 많은 사람에게 읽힐 수 있습니다.